반응형
딥러닝이나 머신러닝 공부하다 보면 자주 나오는 개념인 텐서 표현과 벡터 표현이 헷갈릴 수 있어서 정리해봅니다.
벡터 vs 텐서
한 줄 요약:
벡터는 1차원 배열이고, 텐서는 0차원(스칼라)부터 여러 차원까지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 구조입니다.
벡터는 1차원 배열이고, 텐서는 0차원(스칼라)부터 여러 차원까지 포함하는 모든 데이터 구조입니다.
1. 기본 개념 비교
| 구분 | 벡터 (Vector) | 텐서 (Tensor) |
|---|---|---|
| 정의 | 1차원 수의 배열 | n차원 수의 배열 (0차원~무한차원) |
| 차원 예시 | [1, 2, 3] | [[[...]]] 또는 (3, 4, 5) 등 |
| 포함 관계 | 텐서의 한 종류 | 벡터, 행렬 모두 포함하는 상위 개념 |
| 직관 | 일렬로 나열된 숫자 | 여러 격자 안에 배치된 숫자들 |
2. 코드 예시
벡터 (1차원):
v = np.array([2.0, 3.5, -1.2])
텐서 (3차원 이미지 RGB 예시):
image = torch.randn(32, 32, 3)
3. 텐서 차원별 예시
| 차원 | 이름 | 예시 |
|---|---|---|
| 0차원 | 스칼라 (Scalar) | 5 |
| 1차원 | 벡터 (Vector) | [5, 2, 3] |
| 2차원 | 행렬 (Matrix) | [[1, 2], [3, 4]] |
| 3차원 | 텐서 | 이미지(RGB): (높이, 너비, 채널) |
| 4차원 이상 | 고차원 텐서 | 배치 × 채널 × 높이 × 너비 |
4. 왜 딥러닝에서 중요한가?
딥러닝에서는 모든 입력, 출력, 중간 연산 결과가 텐서로 표현됩니다.
따라서 텐서를 잘 이해하는 것이 딥러닝의 핵심입니다.
따라서 텐서를 잘 이해하는 것이 딥러닝의 핵심입니다.
반응형
'인공지능개념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인공지는 최적화 함수 비교 (2) | 2025.06.13 |
|---|---|
| 인공지능 손실함수 종류 쉽게 이해하기 (1) | 2025.06.12 |
| 인공지능이 데이터를 학습하는 방식 (0) | 2025.06.11 |
| 머신러닝 vs 딥러닝 (2) | 2025.06.09 |
| 인공지능 학습방법 3가지 (2) | 2025.06.08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