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Smithery는 MCP (Model Context Protocol) 서버를 좀 더 직관적이고 시각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웹 기반 GUI 도구입니다. 쉽게 말해, 여러 MCP 서버를 설치/실행/중지하고 설정을 편집할 수 있는 대시보드 역할을 합니다. 복잡한 명령어 없이 클릭 몇 번으로 MCP 서버를 다룰 수 있게 해줘요.
✅ Smithery는 뭐하는 도구인가요?
기능설명
| MCP 서버 목록 관리 | 여러 개의 MCP 서버를 등록하고, 이름, 경로, 상태를 한 눈에 확인 가능 |
| 실행/중지 버튼 제공 | CLI 명령 없이 버튼 클릭으로 MCP 서버를 시작하거나 중지 |
| 설정 GUI 편집 | *.json 설정 파일을 직접 열지 않고 GUI로 수정 가능 |
| 로그 확인 | 서버 로그나 에러 메시지를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|
| 상태 모니터링 | 각 MCP 서버의 실행 상태(Running/Stopped) 확인 가능 |
🛠️ 어떻게 설치하고 사용하나요?
1. Node.js 설치
Smithery는 Node.js 기반 앱이기 때문에 먼저 Node.js를 설치해야 합니다.
👉 https://nodejs.org 에서 LTS 버전 설치
2. Smithery 설치
bash
복사편집
npx @smithery/cli
처음 실행 시 smithery.config.json이 생성됩니다. 이 파일은 MCP 서버의 위치나 설정을 담는 역할을 합니다.
3. Smithery 실행
bash
복사편집
npx smithery
브라우저가 열리면서 Smithery 대시보드가 실행됩니다. (기본 주소: http://localhost:6464)
4. MCP 서버 등록
- 대시보드에서 “Add Server” 클릭
- MCP 서버의 종류 (filesystem, terminal, image_reader 등) 선택
- command, args, working directory 등을 GUI로 입력
- 저장 후 Start 버튼 클릭 → MCP 서버 작동 시작
💡 예시: Filesystem MCP 등록하기
json
복사편집
{ "mcpServers": { "filesystem": { "command": "npx", "args": ["-y", "@modelcontextprotocol/server-filesystem", "D:\\mcp_test"] } } }
Smithery에서는 이걸 GUI로 편하게 입력할 수 있고, Start 버튼만 누르면 바로 실행돼요.
🎯 Smithery가 왜 유용한가요?
- MCP 입문자도 클릭만으로 쉽게 실험 가능
- 여러 개의 MCP 서버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어요
- 설정 오류를 줄이고 빠르게 테스트 가능
- 실시간 로그 확인이 편리해 디버깅도 수월
📎 참고 링크
- GitHub: https://github.com/modelcontextprotocol/smithery
- 공식 문서: https://docs.modelcontext.org/smithery (변동 가능)
API key 받기

반응형
'MCP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zapier MCP (0) | 2025.05.30 |
|---|---|
| notion MCP (0) | 2025.05.30 |
| Cursor Filesystem MCP Server 설치 (0) | 2025.05.30 |
| 클로드 MCP 셋팅했는데도, 망치 아이콘 안뜰때 확인해야할 check list (1) | 2025.05.26 |
| 클로드 MCP filesystem 사용하기 (0) | 2025.05.25 |